안녕하세요~ 오늘은 2022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과 자격 등을 알려드릴게요!
나에게 해당되는 복지혜택은 안 찾아봐서 못 받는 일은 없어야 억울한 일이 없을 거예요.
자, 그럼 오늘 알려드릴 내용은 어떤 내용인지. 또 본인에게 해당되는 내용인지 바로 확인해보시면 좋겠습니다.
지원 대상
연령, 소득기준, 가구소득, 가구재산 4가지를 모두 충족한 청년을 대상으로 지원합니다.
1. 연령 : 만 19세~ 만 34세(수급자 및 차상위자의 경우 만 15세~ 만 39세까지 허용됩니다.)
2. 근로, 사업소득 : 기준중위소득 50% 초과 ~ 100% 이하일 경우, 월 50만 원 ~ 200만 원 이하(세전)이셔야 합니다.
3. 가구소득 : 소득액 인정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 가구에 속하셔야 합니다.
4. 가구재산 : 대도시 3.5억 원, 중소도시 2억 원, 농어촌 1.7억 원 이하이셔야 합니다.
지원 내용
본인 저축 납입자에 한하여 매달 10만 원 이상(매월 전월 23일 ~ 당월 22일 입금 마감일 이전) 경우 소득에 따라 지원합니다.
중위소득 50%와 100%는 위 표에 나와있는 금액 중 본인이 해당하는 가구수에 따른 금액에서 50% 기준은 ÷2를 하시면 되고, 100% 기준은 표에 적힌 값 그대로 보시면 되십니다.
1. 기준중위소득 50% 이하 : 매달 30만 원 지원
→ 3년간 유지 시 (내가 넣은 납입금 10만 원 x 36개월)+(지원금 30만 원 x 36개월). 총 1,440만 원+이자
2. 기준중위소득 50% 초과 ~ 100% 이하 : 매달 10만 원 지원
→ 3년간 유지 시 (내가 넣은 납입금 10만원 x 36개월)+(지원금 10만원 x 36개월). 총 720만 원+이자
※3년간 통장 유지 및 근로활동 지속, 교육 이수, 자금사용계획서 제출 시 적립금이 지급됩니다.
신청 방법
1. 신청 기한 : 22년 7월 18일 ~ 22년 8월 5일
2. 신청 접수처 : 복지로(www.bokjiro.go.kr)에서 온라인 신청을 하시거나 집 주변 주민센터에서 신청 가능합니다.
3. 신청 5부제 시행 : 신청 시작 후 첫 2주 간은 생년월일 끝자리를 기준으로 5부제를 시행합니다. 2주가 지난 후에는 8월 5일까지 요일 상관없이 자유롭게 신청 가능합니다.
-월요일(18, 25일) : 끝자리가 1, 6인 분들
-화요일(19, 26일) : 끝자리가 2, 7인 분들
-수요일(20, 27일) : 끝자리가 3, 8인 분들
-목요일(21, 28일) : 끝자리가 4, 9인 분들
-금요일(22, 29일) : 끝자리가 5, 0인 분들
주의 사항
1. 복지부 자산형성 지원사업과 지원대상, 목적, 방식 등이 유사한 자산형성지원사업과 중복 참여가 불가능합니다.
ex) 서울시 '희망 두배 청년 통장', 고용노동부 '청년 내일 채움 공제' 등
2. 그 외 복지부 자산형성 지원사업과 중복지원을 금하는 것이 조건에 있는 사업과 중복 참여가 불가능합니다.
필수 제출 서류
추가 제출 서류
★추가 제출 서류는 해당 사항이 있는 경우에만 제출하시면 됩니다. 서류 미제출 시에는 해당 항목의 최저점으로 반영된다고 하니 해당사항이 있으신 경우에는 반드시 제출하셔야 불이익이 없으실 것 같습니다.
1. 주소를 달리하는 가구 구성원이 있는 경우 : 가족관계증명서
2. 전, 월세 거주자 : 임대차계약서
3. 사업장 운영자 : 상가 임대차계약서
4. 장애인/장애인 부양 가구 : 장애인 증명서
5. 법정 한부모 가정 : 한부모 증명서
6. 북한 이탈 주민 : 북한 이탈 주민등록 확인서
7. 조손, 다문화, 3자녀 이상 가구(신청자 자녀 기준), 18세 미만 아동 부양 가구주, 65세 이상 노인부양 가구주 : 등본, 가족관계증명서
2022 청년내일저축계좌에 관련된 알아두셔야 할 모든 것을 알아봤습니다.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보건복지상담센터(129)나 자산형성지원 사업에 관한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신 경우 자산형성상담센터(1522-3690)을 통해 전화 문의가 가능하시고, 주민센터에 직접 내방하셔서 복지 창구에서 여쭤보시면 되겠습니다. 모두들 힘내시고 지원자격에 해당되시는 분은 기간 내에 꼭 신청하시고, 3년 동안 유지를 잘하셔서 지원금 최소 360만 원, 최대 1,080만 원을 꼭 받아가셨으면 좋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
'생활 속 돈 되는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지원의 모든것 (신청자격/신청방법/금리/한도/기간/구비서류 한방 정리) (0) | 2022.07.25 |
---|---|
서울시 학자금 대출이자 지원의 모든 것(조건, 신청 방법, 구비서류, 주의사항 등) (0) | 2022.07.19 |
세금 줄이는 통장 ISA(뜻, 장점, 단점) (0) | 2022.07.02 |
2022 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(신청자격, 지원내용, 신청방법) (0) | 2022.06.29 |
폰으로 코인채굴. 파이코인 추천(파이코인 소개, KYC인증, 코인가치 등) (0) | 2022.06.28 |
댓글